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02-2. 상수와 변수
    Book/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 2022. 1. 28. 02:48

    상수 : '항상 같은 수'라는 의미로 값에 이름을 한 번 붙이면 값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.

    const 이름 = 값 //상수 사용법
    • 상수는 같은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음
    • 상수는 값을 변경할 수 없음
    • 상수는 생성과 동시에 초기화 해주어야함

     

    변수 : '변할 수 있는 수'로 값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. 

    let 이름 = 값 //변수 사용법
    • 변수는 같은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음
    • 변수는 값을 변경할 수 있음
    • 변수의 값을 변경할 때는 변수 이름 뒤에 = 기호를 입력하고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.
    변수 = 값 //변수 값을 변경한다.​

     

    변수에 적용할 수 있는 연산자

    변수는 복학 대입 연산자와 증감 연사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복합 대입 연산자 

    복합 대인 연산자는 대입연산자와 다른 연사자를 함께 사용하는 연산자입니다.

    복합 대입 연산자 설명 사용 예 의미
    += 기존 변수의 값에 값을 더합니다. a+=1 a=a+1
    -= 기존 변수의 값에 값을 뺍니다. a-=1 a=a-1
    *- 기존 변수의 값에 값을 곱합니다. a*=1 a=a*1
    /= 기존 변수의 값에 값을 나눕니다. a/=1 a=a/1
    %= 기존 변수의 값에 값을 나머지를 구합니다. a%=1 a=a%1

     

    증감연산자

    증감연산자 설명
    변수++ 기존의 변수 값에 1을 더합니다.(후위)
    ++변수 기존의 변수 값에 1을 더합니다.(전위)
    변수-- 기존의 변수 값에 1을 뺍니다.(후위)
    --변수 기존의 변수 값을 1을 뺍니다.(전위)

     

    undefined 자료형

    • 상수와 변수로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의 자료형을 확인해보면 undefined가 나옵니다.
    • 변수를 선언하면서 값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 식별자는 undefined 자료형이 됩니다.
    typeof(abc)
    //결과값 : "undefined"
    
    let a
    //결과값 : "undefined"

     

Designed by Tistory.